소아 청소년 코로나 백신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기준과 주의사항 공식 자료 정리합니다!
정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뉴스를 통해서 하나씩 검색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가 포스팅을 통해서 소아 청소년 관련 코로나19 백신 접종 지침이 어떻게 나왔는지 총정리를 해 보고자 합니다. 저도 아이가 둘 있어서 아직 어려서 해당 사항은 없지만 관련 사항을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정리합니다. 포스팅을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아 청소년 어떤 백신을 맞을까?
성인의 경우 수급량에 따라서 여러가지 백신을 맞았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교차 접종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소아청소년의 경우에는 공식자료에 보면 화이자만 접종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에 감염될 것을 우려하여 감염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안심 문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소아 청소년 백신을 맞아야 하는 이유는?
소아 청소년 백신을 맞아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여러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백신 접종률을 높히기 위하여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성인이 백신을 맞는 것보다 아이들이 맞는 거에는 사람들이 더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성인도 부작용 이슈가 여러 가지로 있었기 때문에 정부에서 노력을 하는 듯했습니다. 사실 저도 저희 아이들에게 백신을 맞추라고 하면 성장기 아이들은 조금 불안할 듯합니다.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어떤 자료를 통하여 소아 청소년 백신 접종에 대한 정당성을 설명하고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로는 미국, 일본,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 12세 이상 소아청소년에게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행 중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 가지의 이유로 위중증 진행 가능성, 학습권 침해, 심리적 위축 등을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증상 감염이 많다는 것은 그냥 감염되더라도 무증상이라면 백신의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기는 합니다.
기저질환이 있는 아이의 경우에는 적극 권고 건강한 소아 청소년의 경우에도 중증 감염 감소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조금 글을 이상하게 적어서 어이가 없는데.. 12~17세는 접종한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확진자가 낮은 것이지 미접종자라서 확진자가 98%가 아닐 텐데.. 그냥 미접종했기 때문에 확진자가 높은 것처럼 적인 것은 효과적이다라는 것을 설득하기 위해 데이터를 왜곡한 것이 아닌가란.. 생각이 듭니다..
3. 백신은 안전한가요?
가장 궁금한 것은 백신의 안전성일 텐데요. 그 부분에 대하여 정부에서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시면서 자료를 스스로 해석하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 반응 신고가 상당히 있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대로 코로나19에 감염된 학생들이 무증상 이외에 어떤 심각한 중증 증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설명을 해 주면 더 백신을 맞고 싶었을 텐데 크게 없기 때문에 언급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코로나19를 걸리면 백신 부작용보다 더 아프다는 논리가 가장 강할 텐데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젊은 청소년들의 면역 반응이 가장 강력할 것이기 때문에 순간적인 아나필락시스 같은 것이 오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기에 이런 정부의 지침과 설명으로는 우선 저는 불안감이 가시지 않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실지 모르겠지만 자료를 참고하시어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그 외 소아청소년 기저질환 범위에 대하여 첨부된 자료 공유드립니다. 여기에 해당된다면 백식을 적극 권장한다는 말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없어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본 안내문은 문제가 있는 환자가 오면 의사에게 어떻게 진료하면 되는지 지침이 온 내용입니다. 관련 내용 참고하시어 백신 맞고 문제가 있을 시에 의사가 정상적으로 진료를 모두 해주는지 확인을 하시면서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이렇게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는 소아 청소년 백신 접종에 관한 가장 최신 지침을 전반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부의 의도와 설득이 보이는 부분이 많지만 객관적으로 판단하시어 백신 접종 여부를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생활 정보] > 살아가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28일 기준 확진환자, 감염병의심자, 예방접종완료자 공식 정의 (0) | 2022.01.29 |
---|---|
코로나19와 같은 제1급 감염병은 어떤 것이 있을까? (0) | 2022.01.19 |
12월 31일 생활 방역 세부수칙 - 음성확인제 미적용 시설은? 동호회, 소모임 방역관리자 역할은? (0) | 2022.01.01 |
2022년 공휴일 월별로 한눈에 알아보자! (0) | 2022.01.01 |
대구에서 가볼만 한 예쁜 이웃집 수달! (0) | 2021.12.22 |
댓글